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아무리 많은 글을 작성 하더라도 사람들이 내 블로그로 들어오지 않으면 블로그 글을 통한 수익 창출이 되지 않습니다. 블로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구글, 빙, 네이버, 다음과 같은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를 등록해야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구글 서치콘솔, 빙 웹마스터도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다음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 준비하기 (플러그인 설치)
1.1. 고유주소 변경하기
첫번째 할일은 내 블로그 고유주소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사용자 정의 구조‘로 되어 있을 텐데, 이 부분을 ‘글 이름‘으로 변경하세요. 각각의 포스팅 주소가 글 제목으로 되어 있을 경우가 검색에서 조금더 유리합니다. 고유주소 변경은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정] – [고유주소] 항목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하시면 됩니다.

1.2. 플러그인 설치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구글 사이트 킷‘, ‘파일 매니저‘, ‘Robots.txt Editor‘ 3가지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플러그인] 메뉴에서 [새로 추가]를 누른 뒤 검색창에 구글이라고 검색을 하면 ‘구글 사이트 키트’가 나옵니다.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활성화를 누릅니다.

파일 매니저의 경우 한글로 파일 매니저를 검색할 경우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검색창에 ‘wp file’로 검색을 하세요.

마지막으로 Robots.txt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Robots.txt Editor‘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플러그인] – [새로추가] – [Rotots.txt Editor]를 검색하여 설치 후 활성화합니다.

2.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기
구글 사이트킷을 통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해보겠습니다. 관리자 페이지 좌측 상단에 보면 [사이트킷] 메뉴에서 ‘사이트킷 설정하기’를 진행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 연결하기‘와 ‘사용자 데이터 공유하기‘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구글에 로그인하기를 선택합니다.

연결한 구글 계정을 선택하면 ‘Site Kit에 Google 계정에 대한 추가 액세스 요청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데, 모든 항목을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 ‘Have Google Verify site ownership‘ 항목에서 ‘Verify’ 버튼을 클릭합니다.
- ‘Turn on metrics in your dashboard‘ 항목에서 ‘Allow’ 버튼을 클릭합니다.
- ‘Set up Search Console‘ 항목에서 ‘Set up’ 버튼을 클릭합니다.
- ‘Set up Google Analytics‘ 항목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4번째 단계인 ‘Set up Google Analytics’를 선택하면 [서비스 연결하기] – [분석] 항목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만듭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는 계정에 연결해서 사용해도 되고, 새로 만들어도 됩니다. 저는 새로운 계정을 만들겠습니다. [계정] 항목을 클릭 후 [새 계정 설정하기]를 선택합니다.

[새 계정 설정하기]를 선택하면 본인의 워드프레스 주소 및 기본적인 정보가 들어가 있습니다. 여기에 입력된 내용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저는 계정 이름을 제가 나중에 알아 볼 수 있도록 수정하였습니다.

정보를 입력한 뒤 ‘계정 만들기’를 선택하면 구글 계정 선택 화면이 다시 나타납니다. 계정선택 후 앞과 동일하게 구글에서 요청하는 항목들에 대해 승인을 진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Google 애널리틱스 서비스 약관 계약’ 화면이 나타나는데 ‘GDPR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처리 약관에도 동의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동의함’ 버튼을 클릭합니다.

‘동의함’ 버튼을 클릭하면 ‘Site Kit’에서 ‘Your Analytics account was successfully created!’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이제 구글 어낼리틱스 계정이 생성이 된 것입니다. 이제 구글 사이트킷 설치 및 구글 서치 콘솔 연결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Go to my Dashboard’를 선택하면 워드프레서 관리자 페이지에 연결된 [구글 사이트 킷]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사이트 킷’ 아래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검색 콘솔’, ‘분석’, ‘페이지스피드 인사이트’ 3가지 항목이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로 이동해서 사이트 맵을 설정 해줍니다. 구글 서치 콘솔을 검색해서 웹사이트로 들어가도 되고, ‘사이트 킷’ 알림판에서 아래에 있는 ‘검색 콘솔‘ 단축 아이콘을 통해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로 들어 가셔도 됩니다.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에서 ‘Sitemaps‘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 사이트 맵 추가‘ 항목에서 ‘Sitemap_index.xml‘를 적은 후 ‘제출’ 버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rss‘를 적은 후 ‘제출’ 버튼을 선택합니다. 이제 구글 서치콘솔 설정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3. 빙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기
검색 엔진에서 ‘빙 웹마스터 도구‘를 검색하여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페이지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선택합니다. ‘마이크로 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중 가지고 있는 계정을 이용하여 빙 웹마스터 도구에 로그인합니다. 아래에 빙 웹마스터 도구 웹사이트 링크 남겨드립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빙 웹마스터 도구 페이지에서 ‘사이트 추가’ 버튼을 선택합니다.

수동으로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고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해서 등록할 수 있는데, 우리는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구글 서치 콘솔에서 사이트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가져오기’ 버튼을 선택 한 후 구글 계정을 선택합니다.

‘bing.com에서 내 Google 계정에 액세스 하려고 합니다.’라는 화면이 나타나는데 허용 버튼을 선택합니다. 가지고 올 사이트를 선택한 후 오른쪽 아래에 있는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사이트 정보 추가중’이라는 화면이 잠시동안 나타나면서 ‘빙 웹마스터 도구’에 내 사이트가 등록이 됩니다.

‘축하합니다! 사이트를 추가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완료 버튼을 선택합니다. 구글 검색엔진 등록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3.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하기
네이버 검색 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해서 검색엔진에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하여 해당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네이버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한 후 오른쪽 상단에 있는 ‘웹마스터 도구’를 선택합니다. ‘사이트 등록’ 메뉴에서 등록할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주소를 복사하여 붙여 넣습니다. 그리고 엔터를 치면 ‘사이트 소유확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웹사이트가 본인의 것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HTML 파일 업로드‘하는 것과 ‘HTML 태그‘를 추가하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HTML’ 파일 업로드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HTML 파일 업로드’ 선택 후 ‘HTML 확인 파일’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글을 클릭하면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 후 왼쪽 메뉴에서 ‘WP 파일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왼쪽에 보이는 화면에 다운로드한 HTML 파일을 드래그 앤 드랍으로 추가해줍니다. 여기 있는 파일은 매우 중요한 파일이기 때문에 절대 건드리시면 안됩니다.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화면으로 돌아가서 ‘소유확인’ 버튼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사이트가 등록되었다는 메시지가 난 후 ‘사이트 목록’에 방금 추가한 웹사이트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한 워드프레스 블로그 주소를 선택하여 ‘사이트 관리’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구글 서치콘솔과 동일하게 사이트 맵과 RSS를 등록합니다. 요청항목 메뉴에서 사이트맵 제출을 선택합니다. 구글 서치콘솔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등록을 합니다.

4. 다음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기
마지막으로 다음 검색엔진에 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앞과 동일하게 검색엔진에서 ‘다음 웹마스터 도구’로 검색하여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첫번째로 할 일은 PIN 코드를 발급 받는 일입니다.

[PIN 코드 발급 받기]를 선택 한 후 아래와 같이 본인의 워드프레스 주소와 다음 웹마스터도구 사용을 위한 신규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 [이용동의 확인] 체크 박스를 선택하여 서비스약관 동의 화면이 나오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다시 아래 화면으로 돌아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PIN 코드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아래 내용을 본인 워드프레스 robots.txt 파일에 추가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그러면 아래 내용을 클립 보드에 복사를 합니다.

브라우저에서 본인 홈페이지 주소 뒤에 ‘/robots.txt’를 추가한 뒤 엔터를 치면 현재 robots.txt 파일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복사합니다.

관리자 페이지에서 메뉴에서 [설정] – [읽기] 아래 ‘Robots.txt’ 항목에 바로 위에서 확인한 내용과 다음 웹마스터 도구에서 복사한 내용을 아래처럼 붙여 넣은 뒤 [변경 사항 저장]을 누릅니다.

다시 다음 웹마스터 도구 페이지로 돌아 온 뒤 [인증하기] 버튼을 선택합니다. Robots.txt 파일을 수정하였지만 바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서 아래와 같이 ‘robots.txt에 인증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하루 정도 기다렸다 다시 시도하면 이 메시지는 사라지고 웹마스터도구 페이지로 들어 갈 수 있습니다.

만약 기다리는 게 어렵다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설치한 서버로 들어가서 서버 캐쉬를 리프레쉬하시면 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호스팅의 경우 본인이 사용하는 서버 선택 후 [Manage Services] 항목에서 [VARNISH SOFTWARE] 항목에서 [Purge]를 클릭합니다.

다음 웹마스터 도구 페이지에서 다시 인증을 하면 이제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다음 웹마스터도구 메뉴에서 [수집요청] 메뉴에서 이전과 동일하게 RSS와 사이트 맵을 등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구글, 빙, 네이버, 다음 검색엔진에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